2025년 7월부터 민간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 가능! 네이버, 토스, 카카오뱅크 앱에서 간편하게 신원 인증하세요.
모바일 신분증, 이제 민간 앱에서도 발급! 활용법과 보안까지 한눈에 정리
모바일 신분증이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
모바일 신분증은 스마트폰에 발급받아 저장하는 디지털 형태의 공식 신분증입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이 해당하며,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닙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관공서나 은행 창구는 물론, 주류 판매점이나 병원, 온라인 금융 서비스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대면 환경에서도 본인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물 신분증보다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을까?
2025년 7월 23일부터 민간 앱에서도 발급 가능
이제 정부 앱뿐 아니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민간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삼성 갤럭시(One UI 6.1 이상) 사용자라면 대부분의 앱에서 사용 가능하며, 아이폰 사용자는 일부 앱에서만 가능합니다.
토스 | 가능 | 가능 |
카카오뱅크 | 가능 | 가능 |
네이버 | 가능 | 지원 예정 |
KB스타뱅킹 | 가능 | 지원 예정 |
NH올원뱅크 | 가능 | 지원 예정 |
모바일 신분증의 안전성, 정말 믿어도 될까?
단말기 보안 영역에 저장, 서버 저장 NO!
모바일 신분증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며, 서버에는 절대 저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킹으로부터 매우 안전합니다.
생체 인증·앱 비밀번호 필수
- 지문 또는 얼굴인식 등 생체 인증 필요
- 6자리 이상 비밀번호 설정
- 분실 시에는 누리집 또는 콜센터 통해 즉시 발급 중단 가능
삼성 스마트폰의 경우, 삼성과의 기술 협약을 통해 하드웨어 보안 영역에 저장되어 보안성이 더 뛰어납니다.
비대면 시대의 필수 도구! 금융 서비스 활용법
비대면 실명 인증, 더 정확하고 빠르게
모바일 신분증은 안면 인식 기능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정확한 본인 확인이 가능하며,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 위험이 적어 보이스피싱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주요 활용처
금융서비스 | 온라인 계좌 개설, 비대면 상품 신청 |
병원/약국 | 접수, 진료 예약 시 본인 확인 |
관공서 민원 | 신원 인증 절차에 사용 |
택배 수령 | 실명 인증 필요 시 사용 |
온라인 시험 | 본인 인증 절차에 활용 가능 |
성인인증 | 주류·담배 구매 시 활용 가능 |
모바일 신분증, 어떤 종류가 있나?
현재까지 발급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외국인등록증
- 국가보훈등록증
2025년 7월 기준으로 이미 670만 명 이상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여권이나 학생증 등의 디지털 전환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모바일 신분증 확대 전략
AI 시대, ‘신뢰할 수 있는 신원 인증’ 필수
정부는 이번 민간 앱 개방을 계기로 디지털 신원 체계를 신뢰성과 안전성 중심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특히 AI 서비스 확대에 따른 디지털 실명 인증 수단으로 모바일 신분증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앞으로 민간 앱과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발급 방법과 문의 안내
- 발급 경로: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또는 위에 언급된 민간 앱
- 문의처:
-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www.mobileid.go.kr
- 콜센터: 1688-0990
- 금융위 은행과: 02-2100-2676
모바일 신분증, 지금이 발급 적기!
기존 실물 신분증의 불편함을 줄이고, 비대면 시대에 맞는 인증 체계를 구축하려면 모바일 신분증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도구입니다.
토스나 네이버, 카카오뱅크 앱을 사용 중이라면 지금 바로 발급받아보세요!
지갑 없는 생활, 그리고 안전한 디지털 인증 시대의 시작입니다.